유용하게 쓰이는 여러 가지 도메인들
도메인 핵
종류
- .be(벨기에) : 구글 유튜브(YouTube)의 단축 URL "youtu.be"로 사용되고 있다.
- .me(몬테네그로) : 메신저 서비스 텔레그램(Telegram)에서 단축 URL로 사용 중이다. 또한, '나(me)'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개인용 웹사이트에도 자주 사용된다.
- .name(베리사인) : .com, .net 등 유명 도메인을 관리하는 베리사인(Verisign)이 소유한 일반 최상위 도메인으로, 개인의 이름이나 별명을 표시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.
- .ly(리비아) : URL 단축 서비스 및 링크 관리 플랫폼 비틀리(Bitly)에서 단축 URL "bit.ly"로 사용되고 있다.
- .kr(한국) : 캐나다의 사진 공유 서비스 플리커(Flickr)가 ".kr"을 사용하여 "flic.kr"로 활용하고 있다.
- .co(콜롬비아) : .com을 연상시키는 짧은 도메인으로, 트위터(현 X) 등에서 단축 URL로 자주 쓰인다.
- .cc(코코스 제도) : 호주 영토인 코코스 제도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, Cycling Club(자전거 클럽), Country Club(골프장), Car Club(자동차 클럽) 등과 관련된 의미로 사용된다.
- .ac(어센션섬) : 영국령 어센션섬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, academy, academic을 연상시켜 대학이나 교육기관에서 사용된다.
- .tv(투발루) : 텔레비전을 줄여 표현한 것으로, 2019년까지 투발루 정부 수익의 8.4%가 ".tv" 로열티에서 발생했다고 한다. 대표적으로는 사용 중인 사이트는 인터넷 방송 스트리밍 사이트 트위치(Twitch)가 있다.
- .gg(건지 섬) : 영국의 왕실 직할령 섬으로, 게임 용어인 GG(Good Game)를 연상시켜 게임 및 e스포츠 관련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된다.
- .ai(앵귈라) : 서인도 제도의 영국 외부 영토로, 인공지능(Artificial Intelligence) 관련 기업에서 사용한다. 최근 애플(Apple)이 "iWork.ai"라는 도메인을 구입한 사례가 있다.
- .fm(미크로네시아) : FM 방송을 연상시켜 라디오 방송사에서 주로 사용된다.
- .cm(카메룬) : 콜롬비아의 ".co"와 비슷하게 ".com"의 단축 URL로 사용되지만, 빈도는 더 낮다.
- .cat(카탈루냐) : 고양이 관련 사이트에서 굉장히 탐낼 만 한 도메인이지만, 실제로는 카탈루냐어 언어 및 문화 커뮤니티에 속한 사이트들만 사용할 수 있다. 그러나 밈으로 유명한 냥캣(Nyan Cat)의 웹사이트는 조건을 충족하여 사용 중이라고 한다.
- .to(통가) : 전치사 "to"의 의미를 가지며, 간결한 형태로 단축 URL로 활용된다.
.io(영국령 인도양 지역) : 주로 기술 스타트업에서 사용하며, Input/Output을 연상시키는 의미로 개발자들에게 인기가 많다.
- .dev(구글) : 개발자와 기술 관련 웹사이트를 위해 설계된 일반 최상위 도메인이다.
- .app(구글) : 앱 및 소프트웨어 관련 웹사이트에서 사용된다.
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.
스포티파이(Spotify) : "spoti.fi"(핀란드)
구글(Google) : "goo.gl"(그린란드)
링크드인(LinkedIn) : "lnkd.in"(인도)
스팀(Steam) : "s.team"
인스타그램(Instagram) : "instagr.am"(아르메니아)
마치며
.com, .net 등 인기 도메인은 이미 포화 상태에 가까워 원하는 단어를 구매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. 그러나 꼭 인기 도메인이 아니더라도, 자신이 원하는 단어를 표현하거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다른 도메인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.
특히,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(ccTLD)이나 특정 의미를 담고 있는 일반 최상위 도메인(gTLD)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면,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웹사이트 주소를 만들 수 있다.
댓글
댓글 쓰기